소식 GIS 용어, 어디까지 알고 있니? - DB편
GIS 용어, 어디까지 알고 있니? - DB편
뉴스레터가 드디어 100호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의미가 있는 호인 만큼 그동안 발송되었던 뉴스레터도 볼 겸 (주)신영이에스디 홈페이지에 들어가 자사의 변천사(?)도 보면서 100호를 기다리고 있던 찰나, 저 위 문구들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국토공간, 도시계획 및 빅데이터 등 이제는 다소 전문적이지 않은 단어들일수도 있겠지만, 그 안을 좀 더 깊숙이 들어가게 되면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도 헷갈려하거나, 바로 떠오르지 않는 다양한 용어 및 내용들이 존재한답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GIS에 입문하고 친해져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어떠실까요??
우선 이 분야의 핵심 단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GIS란,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 정보 시스템을 뜻하며, 지리적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 편집, 출력 및 시각화하는 컴퓨터 정보시스템입니다. GIS는 GPS와 원격 감지 기술을 포함하는 더 넓은 범위의 시스템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이하 관련 된 용어 및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격자 [grid, mesh, lattice]
① 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점의 분포로, 동일한 크기의 정방형 혹은 준정방형 셀의 배열에 의해서 정보를 표현하는 자료 모형.
② 바둑판 눈금 또는 석쇠 모양의 동일한 크기의 정방형 혹은 준정방형 셀의 배열에 의해서 정보를 표현하는 지리 자료 모형. 정사각형의 가상격자망을 채워주는 점들의 자료 값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 일반적으로 래스터자료체계라고도 하며, 래스터자료를 셀 단위로 저장하는 X, Y 좌표 격자망.
· 경위도좌표계 [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 system]
지구상에 있는 한 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경도와 위도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경도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본초자오선)과 지구상에 있는 한 점을 지나는 자오선이 이루는 수평 방향의 각입니다.
· 공간정보오픈플랫폼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플랫폼’은 컴퓨터의 시스템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여기에 ‘오픈’의 개념은 공간정보를 공개하는 것으로, 단순히 볼 수 있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2차, 3차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체계로 공간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를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공간정보체계를 말합니다.
· 공간정보체계 [spatial information system]
공간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저장·가공·분석·표현할 수 있도록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및 인적 자원의 결합체를 말합니다.
· 교통정보체계 [TIS,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교통정보는 통행자가 적절한 통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로교통에 관련된 정보의 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교통정보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정확성(accuracy), 일관성(consistency), 적시성(timeliness)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통신기술을 교통체계에 적용하여 교통정보의 수집과 제공, 교통안전 향상, 돌발 상황 자동감지, 진출입 연결로 제어시스템 등 교통정체를 해소하고 도로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말합니다.
· 구조화편집 [structured edit]
① 지도 또는 도면을 제작할 때 자연적 또는 불규칙한 형태의 구조물을 보다 간단하거나 수학적인 형태로 편집하는 것.
② 자료간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위상자료에 대한 속성자료를 입력해주는 작업. (관) 정위치편집
· 국가공간정보포털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공간정보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공간정보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개념, 관련 정책·사업, 열린 장터 운영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로 국토교통부가 담당합니다.
· 국토조사 [national land survey]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토기본법에 의거 국토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의 복리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공공 및 민간 분야의 공간의사결정 수요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국토정보를 수집하고 융·복합하여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국토조사는 1963년 이후 본격화되었고 경제계획·국토계획·사회계획 등 제반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로 이용됩니다.
· 그리드셀 [grid cell]
래스터 데이터 모델에서 기본 단위가 되는 하나의 픽셀을 말합니다.
· 근린분석 [neighborhood analysis]
대상과 그 주변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말합니다. 근린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접성, 연결성, 포함성 등의 토폴로지를 갖는 데이터 모델이어야 하며, 주로 적용되는 기법은 버퍼링(buffering)입니다. 근린분석의 예로, 주거지로부터의 교육기관이나 상업시설에 대한 거리와 접근성, 분포 형태와 밀도, 주위 토지이용과의 관계 등 주변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관) 공간분석
· 근접성분석 [proximity analysis]
근접성분석은 특정 지점이나 대상 객체로부터 다른 객체(점, 선, 폴리곤, 또는 래스터의 영상소 등)까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한 거리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즉, 주거지로부터의 교육기관이나 상업시설에 대한 거리와 접근성, 주위 토지이용과의 관계 등 주변 지역과의 거리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기본도 [base map]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직ㆍ간접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지도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관광 안내를 위한 관광지도, 식생의 상태를 나타내는 식생지도, 차량의 운행을 위한 도로지도 등 다양한 지도가 있습니다. 이러한 특정 목적을 위해 제작한 주제도들의 기본이 되는 지도를 기본도(또는 국가기본도)라고 합니다.
· 기준타원체 [reference ellipsoid]
지역 또는 전 지구의 측량, 지도제작 등을 위해 기준으로 채택한 지구타원체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때에는 베셀타원체를 채택 하였고, 2002년 측량법 재정으로 도입한 세계좌표계(ITRE 2000)는 GRS 80 타원체를 기준타원체로 채택 하였습니다. (동) 준거타원체 (관) 국제지구타원체
· 데이터베이스 [DB, database]
① 작성된 목록으로써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
② 주어진 목적이나 주어진 자료 처리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충분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파일로 구성한 자료의 집합.
③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또는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
· 데이터베이스관리체계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를 응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리, 보관하기 위한 기본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수행과정인 데이터의 추가, 변경, 삭제, 검색 등의 기능을 집대성한 소프트웨어패키지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해야 하는 기관이나 기업의 정보시스템구축에 필요 불가결한 소프트웨어로 주로 계층형과 네트워크형, 그리고 관계형(relational)DBMS가 존재합니다.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 데이터웨어하우스 [data warehouse]
정보(data)와 창고(warehouse)의 의미가 합성되어 만든 어휘입니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방대한 조직 내에서 분산 운영되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조정·관리해서 효율적인 의사 결정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관) 데이터마트, 데이터마이닝
· 도시계획 [urban planning]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적 활동으로 인간의 주거와 활동기능에 있어서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공간을 배치하는 계획을 말합니다. (관) 계획도, 도시계획도, 토지이용계획, 환지계획
· 도시계획정보체계 [UPIS,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도시계획과 관련된 모든 자료(현황자료, 이력자료 등)와 정보를 전산화하여 행정기관의 도시계획 관련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도시계획의 입안·결정·집행 등의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도시계획의 효율화, 표준화를 통한 도시경쟁력을 제고하고 도시계획 의사결정의 전문성과 과학화를 확보하여 투명한 도시계획 행정업무를 실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신영이에스디에서도 다수의 UPIS 관련 사업을 진행하였고, 지금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 도시정보체계 [UIS, urban information system]
도시화 현상에서 발생하는 인구, 자원, 교통, 건물, 지명, 환경 및 도시 계획 등에 관한 자료를 체계화한 전산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시 현황 파악 및 도시 계획, 도시 정비, 도시 기반 시설 관리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디지타이징 [digitizing]
아날로그 형식의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디지타이저 위에 도면을 올려 두고 작업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형태를 독취하는 방식인 수동 디지타이징과 스캐닝을 이용하는 자동 디지타이징이 있습니다.
· 래스터 [raster]
컴퓨터에서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한 가지 방법. 이미지를 2차원 배열 형태의 픽셀로 구성하고, 이 점들의 모습을 조합, 일정한 간격의 픽셀들로 하나의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즉 한 줄에서 연속된 픽셀들의 집합을 래스터라고 합니다. 래스터 방식의 장치의 경우 모든 픽셀들의 위치 정보를 기억 장소에 대응시켜 표현한 다음, 기억 장소에 저장된 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 가면서 지정된 값에 따라 출력 장치의 픽셀 모습을 결정합니다.
· 메타데이터 [metadata]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로, 정보 자원의 속성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실제 데이터는 다른 곳에 위치해 있고, 메타데이터라고 하는 또 다른 데이터를 이용해 콘텐츠의 위치, 내용, 작성자 정보, 권리 조건, 이용 조건, 이용 내력 등을 알려줍니다. 메타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나 주로 빠른 검색과 내용을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바로e맵 [Baro e-map]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국가관심지점정보(지명, 상호명, 공공기관 및 시설 등의 명칭과 위치 및 기타 정보 포함)와 국가인터넷지도(인터넷 등 다양한 환경에서 원활한 지도서비스를 지원)로 구성된 지도를 말합니다.
· 방위 [bearing]
수평각을 표현하는 한 형태로, 자오선상의 북쪽과 남쪽을 기준으로 하여 동쪽과 서쪽 방향으로 관측한 각입니다. 각의 크기 범위는 0°~90°이며, 놓이는 측선의 위치에 따라 방위의 기호인 N(북) 또는 S(남)와 E(동) 또는 W(서)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 버퍼 [buffer]
GIS연산에 의해 정의되는 요소의 주위 또는 각 측면의 구역으로, 완충지역(버퍼존)이라고도 하며, 점, 선, 면의 객체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포함되는 지역으로 폴리곤 형태를 취합니다.
실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나 시스템 시각화에 대단히 많이 쓰이는 기술이며, 실무를 경험하면서 많이 접하게 될 기술일 것입니다.
· 범례 [legend]
지도 축척과 특정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을 분류화하는데 적용하는 항목을 말합니다.
· 법정계획도 [map official]
법률로 규정된 정보가 표시된 지도로서 가로, 공지, 광장, 운동장 등 법정계획으로 나타낸 정보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면 광역시 개발을 위한 계획을 지도로 나타내거나, 국가간선도로망 계획도 등이 법정계획도입니다.
· 벡터 [vector]
① 여러 개의 숫자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 즉 n×1이나 1×n의 행렬과 같습니다. (x1, x2, …, xn)으로 표시하고, 기호로 쓸 때는 굵은 글자로 나타냄.
② 속도, 힘과 같이 크기와 방향을 함께 갖는 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 보통 시작점과 끝점을 가지는 화살표로 나타냄.
③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화면이나 플로터에 그려지는 선분. 특히 래스터와 같이 연속된 점을 사용하지 않고 실제로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분에 의하여 그림을 나타내는 방식.
④ 컴퓨터 기억 장치의 주소를 2개 이상 숫자들의 쌍으로 나타낸 것. (관) 래스터
· 벡터데이터 [vector data]
실세계의 위치정보를 공간 표현의 기본 단위인 점, 선, 면을 사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 값으로 표현한 자료입니다. 래스터자료(raster data)와 함께 공간정보를 표현하는 두 가지 형식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관) 래스터자료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KRAS,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은 토지의 표시와 소유자에 관한 사항, 건축물의 표시와 소유자에 관한 사항, 토지의 이용 및 규제에 관한 사항, 부동산의 가격에 관한 사항 등 18종으로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던 부동산에 관한 정보를 '부동산행정정보일원화'사업을 통해 1종의 부동산종합증명서로 기록,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지적공부 등 부동산 관련정보가 통합되어 제공되므로 국민들이 은행 등에 제출하는 부동산 공부가 줄어들어 편리해지고 행정의 능률성을 제고하는 한편 부동산 정보 이용의 활성화를 통해 관련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하게 됩니다. 현재 부동산통합민원 사이트인 일사편리(kras.go.kr)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분포도 [distribution map]
인구·도시·경지·언어·천연자원·강수량 등 지표상에 나타나는 인문 및 자연 현상의 배열 상태·범위 등 분포를 일정한 규약으로 지도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여러 현상의 수평분포를 나타내지만 때로는 지하구조에 대한 정보와 같은 수직분포를 지도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세계측지계 [WGS, world geodetic system]
지구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통일하여 그 결과를 세계적으로 통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말합니다. 세계측지계는 지구의 중심과 타원체의 원점을 일치시킨 GRS80 타원체를 기준으로 3차원 직각좌표계(그림)를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합니다. 지역 또는 국가마다 다르게 정의된 타원체와 원점을 기준으로 위치를 결정하여 같은 위치라도 서로 다른 값으로 표현되는 지역측지계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여러 국가에서 육지부에 채용하고 있는 ITRF계, 미국방성의 체계로써 GPS 및 선박에 채용하고 있는 WGS계, 러시아가 채용하고 있는 PZ계가 있습니다.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는 미국이 구축하고 유지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GPS의 위치 결정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실무상으로도 가장 많이 접하게 될 좌표 중 하나 일 것입니다.
· 수치표고모형 [DEM, digital elevation model]
지표면의 높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그리드 형태의 래스터 데이터 모형입니다. 그리고 여기에는 지표면의 도로, 건물, 교량, 송전탑 등의 인공 구조물과 나무와 식생과 같은 자연물이 표현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표면에 인공구조물이나 자연물이 표현되지 않은 수치표고모형은 홍수의 피해를 예방하고 대비하기 위한 수문분석과 배수유역분석, 산사태 방지를 위한 지표면의 안정성 또는 적합성 분석, 토양과 지질분석을 위한 활용분야에 도움을 줍니다.
· 쉐이프파일 [shape file]
GIS 소프트웨어 회사인 ESRI의 제품에서 사용하는 벡터데이터 포맷입니다. 대상체의 위치, 도형 및 속성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관련된 파일들을 하나의 셋으로 묶어서 관리합니다.
※ 파일 포맷
- shp (쉐이프 포맷) : 도형파일(벡터형식)
- shx (쉐이프 인덱스 포맷) : 도형의 위치, 방향정보
- dbf (속성 포맷) : 각 도형의 속성정보, dBase 포맷
- sbn, sbx (도형의 공간 인덱스) : 공간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부가적인 파일
- prj : 좌표정보
- shp.xml (공간 메타데이터) : xml 포맷
· 아크 [arc]
지리정보체계 도형의 구성요소로서 어느 위치에서 시작하여 다른 위치로 끝나는 x,y 좌표값(vertex)들이 순서대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길이만 갖고 면적은 갖지 않습니다. 선(라인)요소, 면요소의 경계 또는 이 두 가지를 모두 표현합니다. 하나의 선요소는 많은 호(아크)들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호(아크)는 노드와 폴리곤의 양쪽 면과 위상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체인(chain)이라고도 합니다.
· 연속지적도 [serial cadastral map]
지적도면 전산화에 의하여 작성된 수치파일을 정규 도곽으로 보정한 후, 도곽 부분의 필지경계선을 도곽접합방식으로 접합 처리하여 연속된 형태의 수치파일로 제작한 도면을 말합니다. 지적측량을 하지 아니하고 전산화된 지적도 및 임야도 파일을 이용하여, 도면상 경계점들을 연결하여 작성한 도면으로서 지적측량에 활용할 수 없는 도면입니다.
· 위상 [topology]
공간 상에서 객체들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공간적 관계란 각 객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인식하고, 대상 객체의 관계를 상대적 위치에 따라 인접성(adjacency), 연결성(connectivity) 및 포함(containment)의 관계 등을 정의합니다. (관) 연결성, 인접성, 포함성
· 위치기반서비스 [LBS, location based service]
이동통신망과 GNSS를 통해 개인이나 차량 등이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종 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성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은 GNSS를 통해 이미 국방, 측지, 교통, 물류 및 환경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그 효용성이 입증된 기술입니다. 위치기반서비스는 사람과 차량 등의 위치 파악은 물론, 위험에 처했을 때 휴대전화의 응급 버튼을 누르면 구조기관에 연결해 주는 서비스, 휴대전화 사용자가 있는 특정 장소의 날씨 서비스, 일정한 지역의 가입자에 대한 일괄 경보 통지 서비스, 지름길을 찾을 수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 주변의 백화점·의료기관·극장·음식점 등을 알려 주는 생활정보 서비스, 이동 중에 정보가 제공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 정위치편집 [position correction editing]
디지털지도 제작의 한 과정으로 현지조사 또는 현지보완측량으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화 자료를 수정, 보완하는 작업입니다. (관) 구조화편집
· 지구타원체 [earth ellipsoid]
지표면의 요철을 무시하고,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 또는 적도반지름과 편평도만으로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는 가상의 타원체를 말합니다. Bessel(1941년), Clake (1866년), Hayford(1924년), GRS80 (1980년), WGS84(1984년) 등이 있습니다.
· 지리정보 [geographic information]
① 지형·지물·지명 및 경계 등의 위치 및 속성에 관한 정보.
② 도면 내에 그려진 요소들의 형상 및 위치를 나타내는 자료.
· 지목 [land category]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地籍公簿)에 등록한 것을 말합니다. 지목에는 28개의 종목이 있으며, 전(田), 답(畓),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광천지(鑛泉地), 염전, 대(垈), 공장용지, 학교, 주차장,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제방, 하천, 구거(溝渠), 유지(溜地), 양어장, 수도용지(水道用地),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로 구성됩니다.
· 지번 [lot number, parcel number]
지번은 지적공부에 등록한 토지(필지)에 붙이는 번호로서, 호적에서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유사한 것입니다. 토지의 지리적 위치 고정성과 개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동·리의 단위(지번부여지역)로 필지마다 아라비아숫자 1, 2, 3 ··· 등을 순차적으로 부여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합니다. 지번은 토지를 구획한 필지를 다른 필지와 구분하기 위하여 중복되지 않는 고유의 번호로 작성합니다. 지번은 본번과 부번으로 구성되며 ‘숫자 ? 숫자’의 형태로 앞의 숫자를 본번, 뒤의 숫자를 부번, 그리고 ‘-’표시는 ‘의’라고 읽습니다.
· 지오코딩 [geocoding]
지오코딩은 주소(예: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424’)를 지리 좌표(예: 위도 37.555323 및 경도 126.853898)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사용하여 표식을 지도에 넣거나 지도를 배치할 수 있습니다.
· 측지기준계 [GRS, geodetic reference system]
축의 방향과 원점으로 정의되는 측지데이텀을 기반으로 하는 좌표계입니다. 국제 측지 및 지구 물리 연합(IUGG)과 국제 측지학 협회(IGA)는 1909년 포츠담 중력값 관측, 1924년 국제 지구 타원체의 결정 및 1930년 국제 중력식의 결정에 따라 지구의 형과 크기를 중력장으로 정의하고 이것을 측지기준계(GRS)로 확립하였습니다. 현재 국제적으로 GNSS와 같은 인공위성 위치결정체계가 일반화됨으로써 GRS80은 더욱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10년 세계측지계가 전면 도입됨에 따라 GRS80을 측지기준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토지대장 [land account book]
지적도에 등록되어 있는 토지에 대한 필지별 물리적 현황 및 소유자 등을 등록해 놓은 지적공부를 말합니다.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면적, 소유자의 성명,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 등 토지에 대한 기초사항이 수록된 지적공부입니다.
·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LURIS, 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토지이용 규제내용을 온라인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합니다. 지역지구별로 규정된 행위제한내용 및 토지이용행위 가능여부와 규제안내서를 일반국민에게 인터넷으로 서비스하며,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과 연계하여 민원인이 직접 토지이용계획확인서에 행위제한내용 열람이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은 토지이용계획 열람, 지역·지구별 행위제한, 규제안내서 열람, 지형도면고시 열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토지이음으로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http://www.eum.go.kr/web/am/amMain.jsp
· 토지이용계획 [land use plan]
계획구역 내의 토지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계획으로 도시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활동들의 양적 수요를 예측하고 그것을 합리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계획작업을 말합니다. 한정된 국토 즉, 토지자원을 이용함에 있어서 공공목적을 위하여 소유자 이용권의 일부를 제한하는 등 합리적 질서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 필지 [parcel of land, lot of land]
필지는 법적으로 물권이 미치는 권리의 객체로서 다각형으로 구획된 하나의 지번이 붙은 토지의 등록단위를 말하며, 지번은 토지에 붙이는 번호입니다. 필지는 토지에 대한 법률적인 단위이므로 필지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지번지역이 동일하고, 지목이 같으며, 지적도 또는 임야도의 축척이 같아야 하고, 지반이 도로·하천·제방 등의 토지에 의해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소유자가 동일하고 소유권 이외의 권리관계가 같으며 등기여부가 같아야 합니다. 1개의 필지는 1개의 토지를 의미하며 일필지라 부릅니다. 두 개 이상의 필지를 하나로 합칠 수 있고(합병) 1개의 필지를 여러 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분할).
· 획지 [lot]
인위적, 자연적, 행정적 조건에 따라 다른 토지와 구별되는 가격수준이 비슷한 일단의 토지를 말합니다. 다른 토지와 구별되는 조건에는 인위적으로 이루어진 경계, 산/하천 등 자연적 조건, 지목·지번 등 법적 조건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GIS의 DB와 관련된 용어에 대해서 첫걸음마를 떼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생각보다 방대한 양의 용어가 양파껍질 까듯이 까도 까도 계속 나오더라고요. 그만큼 우리의 삶과 일상생활 여러 분야에 스며들어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저희 (주)신영이에스디도 열심히, 또한 성실히 과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 잊지 말아주시고요.
이상 GIS 용어, 어디까지 알고 있니?? - [DB편]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 및 출처 ]
[국토지리정보원] https://www.ngii.go.kr/kor/main.do
[글/사진] 김지곤 과장 / gony880@gmail.com